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중국산 쏘나타 국내 택시 점령, 무서워 못 타겠는 이유?

by 양찌리 2024. 11. 3.
728x90
반응형

 

최근 중국에서 생산된 소나타가 한국 택시 시장을 점령해 그 배경이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31일 자동차 업계 및 카이즈유데이터랩에 따르면 중국 베이징현대 공장에서 생산되어 지난 4월부터 한국 시장에 투입된 중국산 중형 택시 쏘나타 LPG가 출시 이후 6개월 동안 1만 2,048대의 판매량을 기록해 전체 쏘나타 모델 중 36.6%를 차지했습니다. 도로 위 소나타 3대 중 1대 이상이 택시라고 보면 됩니다.

중국산 쏘나타 LPG 택시는 또 이 기간에 국내 승용 택시 신차등록 순위에서도 부동의 1위에 등극하며 택시 시장의 절반에 가까운 48.1%의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그 이유로 차체 사이즈가 커진 데다, 실내 공간 거주성이 뛰어나고, 편안한 승차감 측면에서도 강점을 지닌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압도적인 판매량 쏘나타, 뒤이어 그랜저/스포티지

중국산 현대차 뉴 쏘나타(DN8) LPG 택시는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6개월간 총 1만 2,048대가 등록돼 월평균 2,008대의 판매량을 과시했습니다. 이 기간에 등록된 일반 및 렌트 택시는 총 2만 909대에 이릅니다.

같은 기간 승용 택시 모델별 톱5에는 1만 2,082대가 등록된 중국산 현대차 뉴 쏘나타(DN8)가 전체의 48.1%를 차지했습니다. 이어 기아 뉴 K5(DL3)는 3,576대(14.2%), 현대차 그랜저(GN7) 2,736대(10.9%), 기아 스포티지(NQ5) 1,490대(5.9%), 현대차 아이오닉 5 1,006대(4.0%)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LPG 모델의 높은 선호도 

최근 5년간 연료별 택시 신차등록 대수는 LPG 모델이 총 2만 4,891대가 등록돼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이어 전기차 4,347대, 하이브리드차 273대, 휘발유차 145대, 경유차(디젤차) 30대, 수소연료전지차 2대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LPG 택시가 다시 떠오르면서 판매도 늘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소나타 택시는 차체가 커 실내 거주성에서 강점을 보인다”라며 “여기에 부드럽게 편안한 승차감을 보여줘 택시 탑승자들에게도 만족감이 높다”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현대차의 택시 전용 모델 ‘쏘나타 택시’는 지난 4월 출시됐습니다. 내구성을 높인 택시 전용 LPG 엔진과 변속기, 타이어를 적용했으며 넓어진 2열 공간과 다양한 인포테인먼트∙편의 사양을 갖춘 것이 특징이라고 현대차는 설명했습니다.

 

택시 맞춤 설계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불안

현대차는 택시의 가혹한 주행 환경을 고려해 일반 차량 대비 약 2배 강화된 내구 시험을 거쳤으며, 내구성을 높인 택시 전용 스마트스트림 LPG 2.0 엔진과 택시 전용 6단 자동변속기를 장착했습니다. 타이어도 일반 타이어 대비 내구성이 약 20% 높은 제품을 끼웠습니다.

특히 기존 쏘나타 뉴라이즈 택시 대비 휠베이스를 70mm 늘려 더 넓은 2열 공간을 확보했습니다. 안전 사양도 강화됐으며, 최신 인포테인먼트∙편의 사양도 적용해 상품성을 높였는데요. 계약·출고 과정, A·S 등 구매 제반 사항은 내수 생산 차량과 같다고 현대차는 설명했습니다.

 

728x90
반응형